(1) 에릭슨의 이론
에릭슨은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을 연구하던 중 성격이론의 토대를 잡았다. 에릭슨 역시 프로이트의 이론에는 동의했지만 성의 발달에 의한 인간의 발달은 생애 전체 중 일부분에 불과하며 성격의 발달은 생애의 어느 한 부분이 아닌 전 생애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또 무의식보다는 자아를 강조하고 개인의 욕구 충족보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더욱 중요시했다. 특히 에릭슨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의 성숙에 따라 개인에게 요구되는 과업이 따르고 이 요구를 어떻게 해결하였느냐에 따라 개인의 인생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전 생애를 총 8개의 발달과업으로 나누었다. 아래에서와 같이 에릭슨은 성격발달에서 개인과 사회의 역할 및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일생의 주요 시기에 주어지는 발달과업에 따라 성격의 점진적인 발달을 설명하였다.
①신뢰감 대 불신감(1세): 출생 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발달과업이다. 유아가 출생 후 가장 먼저 만나는 사람은 부모이다. 부모가 유아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친밀한 양육태도로 지속적이고 일관된 행동을 보여 주었느냐에 따라 아이는 첫 번째 사회적 관계를 가지는 부모에게서 신뢰감을 형성하고 이를 일반화한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외부세계를 두려워하는 불안정한 성격을 갖게 된다.
②자율감 대 수치심(2세): 이 시기가 되면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기 시작한다. 스스로 걷고, 물건을 잡는 것 등의 과정을 통해 아이는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성취하는 동안 자신의 힘으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성취감과 자신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 이때 스스로 한 행동이 반복적으로 실패하거나 스스로 선택하고 실천할 경험을 좌절당하면 아동은 자신의 능력에 대해 열등감을 느끼고 자신에 대해 자부심보다는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③진취성 대 죄책감(3세~5세): 이 시기에는 그전에 형성된 자립심과 자율성을 기초로 스스로 어떤 행동을 준비하고 계획하여 실천하려는 요구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요구의 만족을 통해 아이는 진취성과 자발성을 획득하게 된다. 만일 아동이 진취성을 획득하는 데 실패하면 아이는 자신에 대한 수치심과 무가치감, 강한 죄책감을 가지게 된다.
④근면감 대 열등감(6세 이후): 학교생활을 통해 아동은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를 해 나간다. 사회가 요구하는 기초적인 읽기, 쓰기, 말하기, 셈하기와 신체적 능력은 물론이고 사회적 관계를 통해 협동심과 책임감을 습득하게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과제를 잘 습득한 아동은 자신감과 함께 근면성을 갖게 되고 반대 경우의 아이들은 좌절감과 함께 열등감을 경험하게 된다.
⑤정체감 대 역할 혼미(청소년기): 어린이와 어른의 중간 과정에서 가정과 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자신의 역할을 통합하고 자신의 자아개념을 정립해 나가는 시기이다. 자신에 대한 정체감이 제대로 형성되면 자신에게 주어진 자녀, 형제, 친구, 학생으로서의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정체감이 형성되지 못하면 무기력과 혼란에 빠져 진학이나 진로에 있어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자신에 대해 절망하기도 한다.
⑥친밀감 대 고립감(성인기 초반):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기에 접어들면 취업과 결혼 등 중요한 해결과제들이 많다. 이런 과제들을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료나 이성과의 관계가 친숙하고 지속적이어야 한다. 또 이러한 친밀한 관계를 통해 사랑, 신뢰, 존경, 책임의 태도가 함께 나타난다. 반면에 친밀감의 실패는 외로움과 고독감을 가져다주게 된다.
⑦생산성 대 침체성(성인기 중반): 진로와 결혼 문제를 해결하고 중년기에 접어들면 자녀양육과 함께 사회발전과 인류복지를 위해 창조적 노력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을 통하여 기쁨과 만족을 얻는다. 그러나 사회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 사람은 인생을 단조롭고 무의미하게 여기며 침체된 느낌에 빠지게 된다.
⑧통합성 대 절망감(노년기): 인생의 마지막 노년기에는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고 만족감을 느끼게 되며 자아통합감을 느끼게 된다. 즉, 자신의 결혼, 자녀, 직장생활 등을 돌아보고 자신의 인생을 수용하고 만족스럽게 여기면 자신감과 함께 기쁨을 느끼게 되며, 다가올 죽음에 대해서도 좀 더 담담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에는 인생에 대한 허무함과 노년에 대한 고독감, 죽음에 대한 공포 등으로 절망하게 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의 정의 (0) | 2022.10.11 |
---|---|
호감에 관하여 (0) | 2022.10.01 |
심리치료 (0) | 2022.09.24 |
인간 행동에 대한 세 가지 이론 (0) | 2022.09.17 |
성의 어원과 성적 상호작용 (0) | 2022.09.15 |
댓글